"국제우주연맹, 북한 우주개발국 가입 승인 취소"(종합)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우주연맹, 북한 우주개발국 가입 승인 취소"(종합)

14453305534386.jpg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 장면(AP=연합뉴스)
NK뉴스 "항우연과 유엔 대북제재 전문가단 반대 서신 보내"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차지연 기자 = 장거리 로켓 발사를 총괄하는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의 국제우주연맹(IAF) 가입 승인이 취소됐다고 북한 전문 매체인 NK뉴스가 20일 보도했다.


NK뉴스는 IAF의 결정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이스라엘 예루살렘에서 열린 제66차 국제우주대회 연례총회에서 연맹이 추가 조사를 위해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의 가입 승인 결정을 철회했다고 밝혔다.


IAF의 이번 철회 결정에는 지난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단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KARI)으로부터 받은 두 통의 서신이 영향을 미쳤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휴 그리피스 유엔 전문가단 위원장은 편지에서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이 유엔 안보리 제재대상으로 지정된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KCST)와 같은 기구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우주개발국의 신청서와 해당 기관 관계자의 총회 참석 여부, 파리 IAF 본부 방문 여부를 전문가단에 제출할 것을 IAF에 요구했다.


항우연은 김인선 부원장 명의로 된 편지를 통해 "북한 우주개발국의 IAF 가입을 승인한 것은 부적절하다"며 국가우주개발국의 가입이 IAF의 목적인 '평화적 우주개발'과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항우연은 유엔 전문가단과 마찬가지로 국가우주개발국과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가 같은 기구라는 점을 강조했다.


또 국가우주개발국의 회원 가입을 승인할 경우 북한이 자유롭게 탄도 미사일을 위한 기술에 접근하고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항우연 관계자는 "유엔 전문가단이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의 가입 승인을 우려하는 서신을 보냈다는 내용을 확인하고 항우연도 같은 입장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미국 워싱턴DC의 대북제재 연구자인 조슈아 스탠턴은 이번 사태가 '중대한 시스템적 결함'을 보여줬음을 지적했다고 NK뉴스는 전했다.


유엔 전문가단이 국가우주개발국을 대북제재 명단에 추가할 것을 건의한 지 8개월이 지나도록 유엔이 이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앞서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5일 국가우주개발국의 IAF 가입이 결정됐다고 보도했다.


IAF는 평화적 목적의 우주 개발을 장려하기 위해 1951년 세워진 국제기구다. 북한은 장거리 로켓 발사 기술 개발과 발사 명분을 얻기 위해 IAF 가입에 공을 들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장거리 로켓 시험 발사가 '평화적 목적의 인공위성 발사'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국제사회는 이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로 간주한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