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인터뷰> '반크 독도 캠프' 산파역 경북도 이소리 연구원

기사입력 2016.08.05 09:24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젊은이와 함께할 때 가장 뿌듯…국제정세 알아야 대응"

    14703566024143.jpg
    (울릉=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 이소리 경상북도 독도정책관실 선임연구원이 3∼5일 울릉도와 독도에서 열린 반크의 '독도 탐방 캠프'에 동행해 연합뉴스의 인터뷰에 응하고 있다. 2016. 8. 5
     

    (울릉=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 "반크 청년들과 함께 독도를 찾은 게 9번째입니다. 젊은 친구들과 모든 일정을 맞추려다 보니 힘에 부치는데도 마음만은 뿌듯합니다."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와 경상북도가 2009년부터 매년 여름에 개최하는 '독도 탐방 캠프'가 올해도 3∼5일 울릉도와 독도에서 열렸다. 첫해 두 차례 열린 것을 감안하면 이번이 9회째. 4일 독도를 방문한 데 이어 5일 오전 독도 비전 선포식과 함께 공식 일정을 마무리했다.


    반크의 우수 청소년 회원 49명과 동행한 이소리(53) 경상북도 독도정책관실 선임연구원은 독도를 방문한 횟수가 40여 차례를 헤아리는데, 그 가운데 반크 청소년들과 함께 올 때가 가장 기분이 좋다고 털어놓았다.


    그는 처음부터 이 행사가 출범할 수 있도록 기획한 산파역이자 해마다 진행과 해설을 도맡아 지금까지 키워온 보모역이나 다름없다. 다른 독도 관련 행사는 가끔 다른 사람에게 맡기고 빠질 때도 있는데, 이 행사만큼은 꼭 자신이 챙긴다.


    "박기태 단장을 비롯한 반크 스태프들은 자주 보는 얼굴인데도 만날 때마다 새롭고 반갑습니다. 반크 회원들은 해마다 바뀌는데도 늘 정겹고 든든하지요. 이 친구들이 얼마나 고마운지 몰라요."


    일본 시마네(島根)현이 2005년 3월 16일 '다케시마(竹島·독도의 일본식 표현)의 날' 조례를 제정하자 경상북도는 그날 즉각 그때까지 맺고 있던 자매결연 협정을 파기하고 '독도지킴이팀'을 설치해 4명을 배치했다.


    2008년 일본 정부가 교과서에 독도를 일본 영토로 표기하도록 하는 지침을 만들자 독도수호대책본부(10명)로 부서를 확대했다가 독도정책과를 거쳐 2014년 2월 동해안발전본부 소속 독도정책관실(12명)로 개편했다.


    독도정책관실은 2006년 10월 독도 거주 민간인 지원 조례 제정을 주도한 데 이어 2009년 독도재단을 설립하고 2010년에는 독도 명예주민증제를 도입하는 데 앞장섰다. 이밖에도 독도음악제, 문예작품 공모전, 독도사랑축제 등의 이벤트를 기획하고 내외국인들의 독도 탐방 행사를 마련하고 있다.


    부산 태생의 이 연구원은 부산외대 일어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고 일본 후쿠오카(福崗)의 구루메(久留米)대에서 '일본의 식민지교육'으로 박사과정을 마친 뒤 연구원 생활을 하다가 2005년 9월 경북 독도지킴이팀에 합류했다.


    '독도 올바르게 알기', '독도 주민 생활사' 등을 집필했으며 '사이버 독도' 홈페이지(http://www.dokdo.go.kr)에 올라가는 공보자료는 거의 그의 손을 거친다.


    독도 탐방 행사에 동행하는 것은 최근 들어 한 해 서너 차례로 줄어들었다. 이번 캠프 직전에도 '전국 역사·지리 교사 독도 포럼'에 함께했다가 3일 교사들을 떠나보내고 곧바로 울릉도에서 반크 팀에 합류했다.

    "경북이 독도를 지키고 알리느라 힘쓴다 해도 지방자치단체로서는 한계가 있습니다. 중앙정부의 도움을 얻을 것도 있지만 민간단체와의 협력이 더 중요하지요. 민간단체 가운데서는 반크의 활동 실적이 뛰어나고 청소년·청년단체로서의 순수성도 돋보여 우리가 먼저 손을 내밀었습니다. 사이버 독도사관학교 사이트 개설과 독도 탐방 캠프를 제안해 지금까지 함께해오고 있습니다."


    그가 독도 문제에 본격적으로 매달린 지 꼬박 10년 11개월. 어느 때고 바람 잘 날이 없었지만 최근 독도를 둘러싼 파고가 심상치 않아 걱정이 앞선다고 한다.


    아베 신조 총리가 집권한 이래 일본이 한일 역사 문제에 관해 과거로 회귀하려는 태도를 취하는 데다 중국은 남중국해 섬의 영유권을 두고 강경한 움직임을 보여 동아시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사드 배치를 놓고 미국·일본과 중국·러시아의 대립이 격화되다 보니 독도 문제에 관해 국제적인 협력을 얻어내기도 힘든 국면으로 가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역사는 돌고 돈다는 말이 맞는다는 생각이 드네요. 최근 들어 우리를 둘러싼 주변 국제정세가 100여 년 전 구한말 상황과 비슷하게 돌아가는 것 같아요. 그때보다 우리의 국력이 훨씬 커지긴 했지만 분단 상황이어서 강대국 눈치를 안 볼 수 없는 처지지요. 독도 문제도 강대국의 입김에 좌우되거나 국내 정치적 이해관계에 휘둘리지 않을지 우려스럽습니다."


    그래도 그는 우리 젊은이들에게 기대를 걸고 있다. 해마다 독도를 방문하는 반크의 우수 회원을 비롯해 많은 청소년과 청년들이 우리 선조들과는 달리 국제적인 안목과 탄탄한 실력을 갖춰나가고 있음을 확인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는 캠프 첫날 독도 캠프에 참가한 반크 회원들을 대상으로 특강에 나서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늘 당부해온 말이지만 그 어느 때보다 목소리가 간절하게 들렸다.


    "독도 문제에 슬기롭게 대응하려면 우선 일본의 전략을 잘 알아야 합니다. 배울 점은 배워야 하고요. 우리의 현실도 냉철하게 분석해야 합니다. 감정만 앞세운다고 될 일이 아니지요. 세계의 시각을 잘 살피는 것도 중요합니다. 독도 문제는 한일관계에 그치는 일이 아니거든요. 종적으로는 역사를 제대로 알고, 횡적으로는 주변 상황을 두루 꿰고 있어야 예전처럼 어처구니없는 일을 당하지 않습니다."


    3일간의 공식 일정을 모두 마무리하는 5일 아침, 반크 회원들과 인사를 나누는 이 연구원의 표정은 이틀 전보다 훨씬 밝아 보였다. 독도 홍보 퍼포먼스 경연, 글로벌 사이트 설득 전략 발표회, 독도 방문 소감 글짓기 대회 등에서 이들의 가능성을 확인했기 때문인 듯했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