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9월 모의평가 국어 한문제 틀리면 2등급 받아

기사입력 2014.09.25 12:36

SNS 공유하기

fa tw gp
  • ba
  • ka ks url

      

    지난 3일에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만점자 비율 국어 A형 4.19%, B형 5.34%에 달해

    (세종=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국어 영역에서 한 문제만 틀리면 2등급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수능' 논란이 영어에서 국어로 번지는 양상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 같은 내용의 9월 수능 모의평가 채점결과를 25일 공개했다.  

    표준점수 최고점으로 추정한 전체 응시인원 대비 만점자 비율이 ▲ 국어 A형 4.19%, B형 5.34% ▲ 수학 A형 0.38%, B형 0.52% ▲ 영어 3.71%다.

    국어 B형의 만점자 비율이 지난해 본 수능(0.92%)의 6배에 달할 정도로 많았다.

    국어 영역에서 만점자 비율이 그동안 1% 내외에 그친 것을 감안하면 9월 모의평가에서 만점자는 이례적으로 많이 나왔다.  

    지난 6월 모의평가 때 영어 영역에서 만점자가 5.37% 나와 일었던 '물수능' 논란이 9월 모의평가에서는 국어 영역에서 재연된 셈이다.

    특히 국어 A/B형의 표준점수 최고점이 1등급과 2등급을 구분하는 1등급 커트라인이 됐다. 만점을 받아야 1등급이고, 한 문제라도 틀리면 2등급으로 내려간다는 의미다. 

    표준점수 최고점은 ▲ 국어 A형 124점, B형 122점 ▲ 수학 A형 146점, B형 137점 ▲ 영어 128점이다.  

    국어 A/B형의 표준점수 최고점은 지난해 본 수능과 비교해 각각 8점, 9점 떨어져 상대적으로 쉽게 출제된 것으로 보인다. 

    표준점수는 수험생 전체 평균 대비 상대적 위치를 알려주는 점수로, 시험이 쉬워 평균이 높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이 낮아지고 어려우면 최고점이 올라간다.

    평가원 관계자는 "국어 영역에서 지문 수가 지난해 16개에서 이번에 12개로 줄어든 점이 학생들의 성적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고 풀이했다.

    영어 영역 역시 '쉬운 수능 영어' 기조가 유지됐다. 만점자 비율이 지난 6월(5.37%)보다 낮은 3.71%이지만 근래 가장 쉽게 출제됐다고 평가받은 2012학년도 수능 당시 만점자 비율(2.67%)보다 높았다.  

    사회탐구 영역에서 표준점수 최고점은 세계사(70점), 법과 정치(70점)가 가장 높았고, 한국사(64점)가 가장 낮았다.  

    과학탐구 영역에서는 생명과학Ⅰ(79점)이 표준점수 최고점이 가장 높았고, 화학Ⅱ(66점)가 가장 낮았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서는 표준점수 최고점이 가장 높은 아랍어Ⅰ(98점)과 가장 낮은 스페인Ⅰ(64점)이 차이가 34점이나 돼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가 크게 나타났다. 


    backward top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