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연 또 지연…꽉막힌 제주 하늘길 언제 숨통 트이나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지연 또 지연…꽉막힌 제주 하늘길 언제 숨통 트이나

단기 인프라 확충 1ㆍ2차 사업 2020년 완료…탑승 수속 개선
제2공항 2025년 완공목표 추진…주민ㆍ시민단체 반대 '변수'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제주도에 관광객과 귀성객이 심하게 몰리는 추석 연휴 때면 극에 달한 제주공항의 포화상태가 언제쯤 해소될까 하고 생각하는 이용객들이 적지 않다.


짧게는 4년 뒤부터는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일 수 있겠으나 포화가 완전히 해결되려면 적어도 9년가량 북적이는 인파의 틈을 뚫고 제주공항을 오가는 불편을 감수해야만 한다.

14740760614852.jpg제주공항 여객청사 포화[연합뉴스 자료사진]

4년 뒤인 2020년에는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제주공항 단기 인프라 확충 1·2차 사업이 완료되고, 제주 항공교통 인프라를 완전히 해소하기 위해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제2공항은 9년 후인 2025년 완공이 계획됐다.

제주공항 이용객은 올해 상반기(1∼6월)에만 누적 기준 1천435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천241만명)에 견줘 15.6% 증가했다.


연간 항공수요는 지난해 2천623만명으로, 국토부가 2년 전 예측·발표한 2015년 제주공항 항공수요(2천309만명)를 314만명이나 초과, 벌써 포화 수준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활주로도 포화 수준인 것은 마찬가지다.

지난해 항공기 이착륙 횟수는 15만9천691회로, 연간 최대치인 17만2천회의 92.5%에 이르고 있다.


◇ 꽉 막힌 항공교통 어떻게 푸나

국토부는 제주공항의 혼잡을 해소하기 위해 단기 인프라 확충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차 확충사업은 탑승 수속 시설과 주차장 확대 등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발권 창구 23%(126개→155개), 보안검색 시설 43.3%(30개→43개), 수하물 처리설비 23%(13개→16개), 출입국 심사 부스 41.7%(24개→34개)가 각각 늘어난다.


신속한 탑승 수속을 위한 이동형 발권 시설이 20곳 더 추가되고 공용 발권 시설 등 공항 기능시설도 3∼4곳에 만들어진다.


내년 3월에는 제주공항 주차장도 현재 2천620면에서 3천817면으로 확대돼 45.7% 늘어난다.


국내선 외국인 신분검색 부스는 3개에서 4개로, 내국인 보안검색대는 11대에서 13대로 늘린다.


국토부는 1차 사업이 마무리되면 국내선 시간당 여객 처리 능력이 20%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공항 주변 교통혼잡 개선을 위해 제주공항 우회도로가 2018년 완공되고 광역복합환승센터 건설도 추진된다.


2차 확충계획은 내년 초 세부적으로 수립돼 2020년까지 추진된다.

14740760644198.jpg제2공항 건설계획안[연합뉴스 자료사진]

항공교통 인프라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추진되는 제2공항 건설도 현재 예정대로 진행되고 있다.


국토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는 올해 1월 제2공항 개발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했다. 예비타당성 조사는 연내 완료할 계획이다.


KDI는 지난해 12월 기재부 의뢰를 받고 나서 처음 현장을 찾아 자연환경, 사회환경, 교통현황 등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벌인 '제주 공항 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 결과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 등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과정이다.


기재부는 KDI의 조사를 바탕으로 제2공항 건설의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건설 계획을 확정하게 된다.


제2공항 건설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 내년 기본계획을 세운 뒤 제2공항 기본설계 용역비 등이 국토부 예산안에 반영된다.


이후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기본 및 실시 설계를 진행하고 2020년 착공한다. 완공 시기는 2025년으로 잡고 있다.


◇ 주민·시민단체 반대 '변수'

현재의 제주공항 시설을 보완하는 단기 대책은 별다른 무리 없이 추진되겠으나 제2공항 계획만은 변수가 많다.


김해공항 확장 계획도 같은 시기 예정돼 제주와 예산 확보 경쟁을 벌일 수밖에 없다.


제2공항 입지로 발표된 성산읍 일부 마을주민들의 반대도 중요한 변수다. 주민들의 적극적인 반대가 계속되면 차후 제2공항 부지 확보에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들은 제2공항 반대대책위원회를 구성, 건설 계획의 전면 백지화를 주장하고 있다.


주민들은 제2공항 건설 계획 배경이 된 국토부의 '제주 공항 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연구' 용역이 부실하게 이뤄져 새로운 공항건설 사업 추진이 잘못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책위는 "성산읍을 제2공항 예정지로 선정한 2015년 '제주 공항 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에서는 불과 3년 전인 2012년 '제주공항 개발 구상 연구'에서 대안으로 제시된 3개 후보지(신도·신산·위미리)가 모두 탈락했다"며 "공사비와 효율성 측면에서 다른 곳과 비교해 불리한 성산읍 예정지 방안이 용역 결과로 도출된 것은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주장했다.


인근 수산동굴에 대한 평가 검증 부실, 잘못된 소음 평가 기준 및 보상비 관련 평가, 주민 수용성과 절차적 정의를 무시한 부지 선정의 문제점 등도 거론했다.

14740760670247.jpg제2공항 건설 반대하는 온평리 주민들[연합뉴스 자료사진]

그동안 제2공항 건설 계획에 침묵을 지켰던 제주 시민사회단체들도 입을 열었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제주참여환경연대 등 14개 시민사회단체는 '제2공항 전면 재검토와 새로운 제주를 위한 도민행동'을 출범시켜 건설 계획 재검토를 위한 활동에 나서기로 했다.


도민행동은 "제2공항 건설로 관광객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이로 인한 발생할 환경·사회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지에 대한 계획이 전무하다"며 "양적 팽창에 기반을 둔 제주발전 전략으로 추진되는 제2공항 개발사업이 아니라 도민의 삶과 질적 향상, 새로운 제주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한 운동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도민행동은 마을주민으로 구성된 제2공항 성산읍 반대대책위가 주장한 국토부의 '제주 공항 인프라 확충 사전타당성 연구' 용역 부실에 대해 공개적으로 합동 검증하자고 제주도와 국토교통부에 제안했다.

또한 사전타당성 연구에 대해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하고 국회 국정감사에서 제2공항 추진 문제가 거론되도록 할 예정이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